깡통전세 속출 ; 전국 집값 하락 폭이 연일 확대되는 가운데 서울 아파트에서도 깡통전세 위험이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서울 아파트는 깡통 전세 위험이 낮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집값이 급락한 일부 단지에서는 전셋값이 집값을 추월하는 사태도 발생하기 시작했다.
[ 하락장 신축아파트 공포 …구축보다 더 빨리 떨어진다 ]
29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가격동향에 따르면 9월 셋째 주(26일) 기준 전국 아파트값은 0.20% 하락하며 전주(-0.19%)보다 하락 폭이 커졌다.
전주 낙폭도 2012년 5월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가장 큰 낙폭이었지만, 한 주 만에 기록을 다시 썼다.
서울 집값은 0.19%, 인천과 경기 집값도 각각 0.31%, 0.27% 내렸다.
서울 집값이 0.19% 하락한 것은 2012년 8월 0.22% 떨어진 이후 10년 1개월 만의 최대폭이다.
서울 25개 자치구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강북 지역에서는 노원구(-0.33%), 도봉구(-0.32%),
서대문구(-0.28%), 종로구(-0.26%) 등의 낙폭이 컸던 것으로 집계됐다.
깡통전세 속출
서대문구 남가좌동 ‘DMC파크뷰자이’는 지난 21일 전용 84㎡가 12억20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9월 15억4000만원보다 3억2000만원 낮은 액수다.
이 단지 같은 면적은 지난해 전셋값 10억원을 기록했는데, 이를 기준으로 하면 전세가율이 82%까지 높아졌다.
은평구 진관동 ‘은평뉴타운우물골8단지’ 전용 84㎡도 지난 22일 8억6000만원에 손바뀜됐다.
이 단지 같은 면적의 전세가는 지난해 10월 6억5000만원이었는데, 집값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전세가율이 75%를 넘어섰다.
강남지역에서는 송파구(-0.23%), 관악구(-0.21%), 강서구(-0.20%) 등의 낙폭이 크게 나타났다.
송파구 풍납동 ‘현대리버빌2차’ 전용 59㎡는 지난 21일 6억9000만원에 매매됐다.
지난해 9월 동일 면적 전셋값은 이보다 높은 7억원이었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전세가율이 80%를 넘어가면 깡통전세 위험이 큰 것으로 본다.
주택이 경매로 넘어갈 경우 한 번 유찰되면 최저입찰가가 감정가의 80%로 설정되는데,
전세가율이 80%를 넘으면 경매 청산절차가 발생했을 때 전세금을 온전히 돌려받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실제 전국 기준 최근 3개월 평균 낙찰가율은 82.7%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아파트의 최근 1년 전세가율은 매매가의 72.3%로 집계됐다.
서울 아파트 가운데서는 금천구(76.6%), 강서구(71.9%), 은평구(70.2%) 순으로 전세가율이 높았고,
읍·면·동 기준으로 보면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동1가 아파트 전세가율이 103.4%에 달했다.
한편 같은 기간 전국 전셋값은 0.21%, 서울 전셋값은 0.18% 내린 것으로 집계됐다.
인천과 경기도 각각 0.33%, 0.32% 하락했다.
한국부동산원은 금리 인상에 따라 전세대출 이자 부담이 늘어나면서 신규 임차 수요가 감소한 영향으로 풀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