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가격 하락폭 ; 최근 주택시장이 수도권·비수도권 등 지역별로 차별화 양상을 보이는 가운데 지역별 고점 대비 가격하락폭은 세종·대구·대전 순으로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금리인상 등으로 주택가격 하방리스크가 빠르게 증대되는 상황에서 이들 지역의 주택가격이 더 큰 폭으로 하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 금싸라기 땅 부자 , 아직 첫 삽도 못 떴는데…고민 깊어지는 부영그룹 ]
한국은행은 28일 발간한 ‘지역경제보고서’에서 ‘지역별 주택시장 동향 및 리스크 평가’ 분석을 통해
“주택가격 고평가, 차입 여건 악화 등 주택시장 하방요인이 공급부진 등 상방요인보다 우세한 가운데
수도권과 광역시 일부 지역이 하방요인에 상대적으로 더 크게 노출됐다”고 밝혔다.
주택매매가격(전국 기준)은 펜데믹 이후 지난해 12월까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다가 올해 6월부터 하락 전환한 뒤 7~8월에는 하락폭이 확대됐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지역별로는 세종(-7.93%), 대구(-3.37%), 대전(-1.29%), 인천(-1.21%) 등
일부 특·광역시의 주택가격 하락폭이 큰 편이며,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매매거래량과 매수심리도 크게 위축되고 있다.
또 하락 전환시점이 빠를수록 월평균 하락폭도 컸으며, 상승기(2019년 10월~2021년 12월)에
높은 오름세를 보였던 지역과 최근 거래량이 큰 폭 감소한 지역에서 조정기(2022년 1~8월) 중 가격하락폭이 크게 나타났다.
아울러 소득 대비 주택가격(PIR)이 전반적으로 큰 폭 상승한 가운데 지역별 임대료 대비 주택가격(PRR)은
세종과 서울 지역이 가장 높은 수준이고, 상승기 직전(2019년 9월)에 비해서는 인천 지역이 가장 고평가된 상태로 분석됐다.
차입 여건으로 봤을 땐 차주의 소득 대비 대출잔액 비율(LTI)이 큰 폭 상승하거나 그 수준이 높은
세종, 경기, 대구, 인천 등의 지역에서 하방압력이 더 클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2년간 아파트 입주물량은 대부분 지역에서 최근 3년간 평균 수준에 미치지 못하나,
대구와 인천, 충남 지역은 과거 평균을 크게 상회하면서 가격 하방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주택가격 하락폭
매수자의 연령층을 보면, 이른바 ‘패닉바잉’ 논란을 야기했던 청년층(30대 이하)의 매수비중이
2021년 1월을 정점으로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 들어 수도권의 감소폭이 확대되고 있다.
주택매매가격(전국 기준)은 펜데믹 이후 지난해 12월까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다가 올해 6월부터 하락 전환한 뒤 7~8월에는 하락폭이 확대됐다.
권역별로는 수도권, 지역별로는 세종(-7.93%), 대구(-3.37%), 대전(-1.29%), 인천(-1.21%) 등
일부 특·광역시의 주택가격 하락폭이 큰 편이며,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매매거래량과 매수심리도 크게 위축되고 있다.
또 하락 전환시점이 빠를수록 월평균 하락폭도 컸으며, 상승기(2019년 10월~2021년 12월)에
높은 오름세를 보였던 지역과 최근 거래량이 큰 폭 감소한 지역에서 조정기(2022년 1~8월) 중 가격하락폭이 크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