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진 서울불패 ; 금리인상과 매수 위축 앞에 ‘서울 불패’도 옛말이 되고 있다.
지난해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 매수로 활활 타오른 도봉·노원구와 강남4구로 불린 송파·강동구는 이미 집값 하락세에 올라탔다.
다른 자치구 역시 매매가격 증가폭이 급감하고 있다.
당분간 서울 지역도 전국적인 매매가격 하락세에 동참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평가다.
12일 부동산R114 REPS에 따르면 올해 9월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지난해 10월 말 대비 1.35% 상승했다.
[ 수도권 토지 높은 낙찰률 … 경매시장 찬바람 불지만 토지 인기 상승 ]
같은 기간 1년 전 변동률이 15.48%라는 점을 고려하면 대폭 하락한 수치다.
25개 자치구 중 매매가격이 하락한 곳은 총 4곳이다. 도봉구가 -1.16%를 기록해 매매가격 하락폭이 가장 컸다.
이어 ▲송파구(-0.62%) ▲노원구(-0.24%) ▲강동구(-0.12%) 순이었다. 동대문구(0.01%)와 은평구(0.36%),
성북구(0.4%)도 0%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집값이 가장 많이 오른 자치구 상위 3곳에는
▲용산구(4.49%) ▲서초구(4.43%) ▲종로구(3.37%)가 이름을 올렸다.
영끌매수 몰리던 노원·강북구의 추락, 왜?
1년 사이 집값이 가장 많이 하락한 도봉구와 3위를 차지한 노원구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집값 상승률이 가장 높은 자치구 2위, 1위였다. KB부동산 월간 통계에 따르면 노원구와
도봉구의 지난해 9월 매매가격 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27.27%, 23.48%로 집계된다.
집값이 급격히 오른 것은 2030세대 영끌 매수세가 몰렸기 때문이다.
이들 지역은 아파트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해 매수자의 진입장벽이 낮았다.
강북 지역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020년만 해도 6~7억원선이었다.
이미 10~12억원에 평균 매매가격이 형성돼있던 강남 지역과 대조된다.
이 때문에 2020년 이후 시작된 ‘패닉바잉(공황 구매)’ 현상은 주로 강북으로 몰렸고,
집을 사겠다는 사람이 늘면서 강북 지역 역시 올 2월 평균 10억원까지 치솟았다.
사라진 서울불패
그러나 최근 금리인상과 아파트 가격 고점인식으로 매수세가 급감하며 매매가격은 하락세를 타고 있다.
상대적으로 매물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전날 기준 노원구와
도봉구의 매물은 지난해 대비 42.9%, 5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의
매매거래량을 보면 매매건수는 각각 17건, 19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12분의 1,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개별 단지들 역시 대부분 하락 거래되고 있다. 지난해 14억2000만원까지 올랐던 노원구 중계동 청구3차 전용 84.77㎡는
지난 6월 12억5000만원에 팔렸다. 도봉구 창동주공 4단지(41.3㎡) 역시 지난달 4억5000만원에 거래됐다.
이 단지는 지난해 10월 6억2000만원에 거래된 곳이다.
노후 아파트가 많아 재건축 기대감을 가지고 뛰어든 매수자들도 급감하면서 두 자치구의 가격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988년 지어진 도봉구 창동주공 19단지(60.5㎡)는 이달 6억60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해 8월 9억7700만원에 팔린 것을 고려하면 1년 여만에 3억1700만원이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