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타이틀 떼야하나 84 형님보다 59 동생 잘 나간다는데

국민 타이틀 떼야하나

국민 타이틀 떼야하나 84 형님보다 59 동생 잘 나간다는데

국민 타이틀 떼야하나 84 형님보다 59 동생 잘 나간다는데

아파트 수목원보다 더 멋진 로열가든 국내 첫 3D 입체조경

최근 인터넷 부동산 카페에는 비슷한 가격의 A지역 34평(전용면적 84㎡) 아파트와 B지역 25평(전용면적 59㎡) 아파트 중에서

‘어디를 사는게 좋냐’는 질문이 심심찮게 올라온다. 이때 B지역이 A지역보다 이른바 ‘상급지’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4~5년 전만 해도 답변은 ‘A지역 34평’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요즘은 상황이 사뭇 다르다.

‘B지역 25평’이 비슷하거나 오히려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특히 3인 가족이면 25평을 추천한다’,

‘25평 정도면 충분히 살수 있기 때문에 일단 핵심지로 진입하는 것이 좋다’는 식의 답변이 많다.

과거 4인 가족이 살기에 적합하다는 의미에서 34평 아파트를 일컫던 말인 ‘국민 평형’의 기준이 바뀌고 있다.

올해 새 아파트 청약에서 60㎡(이하 전용면적) 이하 소형 평형 경쟁률이 84㎡가 포함된 중형의 4배를 넘고,

기존 아파트 거래에서도 소형 비중이 늘고 중형은 줄어드는 추세다.

1, 2인 가구 비율이 꾸준히 늘어난 데다 건설사들이 아파트 평면 설계를 효율화하면서 평수가 작아도 쾌적한 생활이 가능해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특히 아파트 가격 자체가 비싼 서울·수도권에 집을 갖고 싶다면 25평 아파트를 고려하는 것이 ‘공식’처럼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 정보업체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청약 신청을 받은 아파트의 평형별 경쟁률을 분석한 결과,

전용60㎡ 이하가 29.4대1로 가장 높았다. 60㎡ 이하의 90% 이상이 전용59㎡다.

84㎡가 포함된 중형(60㎡ 초과~85㎡)의 경쟁률은 6.59대1로 소형에 크게 못 미쳤다.

작년보다 경쟁률이 높아진 타입도 60㎡ 이하뿐이었다.

가격 변동률을 봐도 전용40㎡ 초과~60㎡ 이하 아파트가 전용60㎡ 초과~85㎡ 이하 아파트보다 나쁘지 않다.

한국부동산원의 서울 5월 아파트 가격동향 조사에 따르면 두 면적 모두 전월대비 같은 가격 상승률(0.2%)을 기록했다.

강남3구(강남 서초 송파)가 포함된 서울 동남권의 경우 소형 아파트 상승률이 0.34%로 중형 아파트(0.32%)를 앞선다.

기존 아파트 거래에서도 소형 평형의 비율은 높아지는 추세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 중 60㎡ 이하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8년 32.9%에서 지난해 38.5%까지 올랐다.

같은 기간 60㎡ 초과~85㎡ 비중은 54.5%에서 51.3%로 떨어졌다.

25평 아파트 인기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인구 구조 변화가 꼽힌다.

행정안전부 인구통계에 따르면 전국 1인 가구 수는 올해 3월 1002만1413가구로 사상 처음 1000만 가구를 돌파했다.

전체 가구의 41.8%다. 2인 가구(590만9638가구)까지 더하면 전체의 66.4%를 차지한다.

4인 가구가 대세라 아파트 크기도 그에 맞췄던 과거와 달리 지금은 세 집 중 두 집이 소형 아파트의 잠재적 수요층인 셈이다.

물론 소형 아파트의 수요가 높아지더라도 편의성이 떨어지면 매력은 낮아진다.

설계 기술이 발전해 공간 활용도가 예전에 비해 높아진 것도 중형 아파트에서 소형 아파트로 수요를 전환시킨 이유다.

건설업계에 따르면 전용 60㎡ 이하 소형아파트가 30평대 중형 아파트를 위협하기 시작한 것은 2006년 발코니 확장 합법화부터다.

발코니 면적을 바닥면적 계산에서 제외해 ‘서비스면적’으로 인정하면서, 거실·방·주방 등 실내 주거공간을 넓힐 수 있는 방안이 공식 허용된 것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