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규제가 가져온 변화 강남 아파트 매물만 늘고 매수는 뚝

6.27 규제가 가져온 변화 강남 아파트 매물만 늘고 매수는 뚝
6.27 규제가 가져온 변화 강남 아파트 매물만 늘고 매수는 뚝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로 인해 강남권 아파트의 매수 심리가 두 달 만에 꺾이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마지막 주(6월 30일 기준) 서울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구)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8.8로, 전주 대비 2.4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5월 첫째 주(100.8) 이후 7주간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이던 지수가 하락 전환한 것이다.
매매수급지수는 시장에서 주택 공급과 수요를 수치로 나타낸 지수로, 기준선인 100을 초과하면 매수 심리가 매도 심리를 웃돈다는 뜻이다.
또한 같은 기간 서울 전체의 매매수급지수도 103.7로 전주보다 0.5포인트 낮아지며 10주 만에 하락세로 전환했다.
매매수급지수의 상승폭이 감소한 것은 4월 셋째 주(98.4) 이후 처음이다.
현 부동산 시장의 관망세는 다른 통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KB부동산이 발표한 6월 30일 기준 주간 아파트 시장 동향에 따르면, 서울의 매수우위지수가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지수는 전주 99.3에서 22.9포인트나 하락하며 76.4를 기록했고, 강북 14개구는 69.7, 강남 11개구는 82.3으로 각 권역 모두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강남권의 매수 심리 위축이 두드러졌다.
서울 지역 집값 상승 역시 둔화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마지막 주 기준 서울 아파트 값은 0.40% 상승하며 22주 연속 오름세를 유지했지만, 이는 전주의 상승률인 0.43%에 비해 소폭 감소한 것이다.
이와 같은 부동산 시장의 변화는 정부가 발표한 강도 높은 대출 규제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매매수급지수의 상승폭이 감소한 것은 4월 셋째 주(98.4) 이후 처음이다.
현 부동산 시장의 관망세는 다른 통계에서도 드러나고 있다.
KB부동산이 발표한 6월 30일 기준 주간 아파트 시장 동향에 따르면, 서울의 매수우위지수가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지난달 수도권과 규제지역을 대상으로 주택담보대출 최대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며 대출 요건을 대폭 강화했다.
다주택자에게는 주택담보대출비율(LTV)을 0%로 적용하고, 주택담보대출을 받을 경우 6개월 내 전입을 의무화했다.
또한, 7월부터 시행된 3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가 더해지며 자금 조달이 더욱 어려워졌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주택 수요는 대출 규제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규제가 시행되면 하루 이틀 새에 바로 시장 반응이 나타난다"며 "과거 사례를 보면 대책 발표 후 한두 달 정도
매매수급지수가 둔화했던 것처럼, 당분간 추가적인 하락도 예상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