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5년 스마트+ 빌딩 1만곳 고터 고양엔 UAM 이착륙장
2035년 스마트+ 빌딩 1만곳 고터 고양엔 UAM 이착륙장
로봇과 드론, 자율주행차, 도심항공교통(UAM) 기능을 결합한 ‘스마트 플러스(스마트+)’ 빌딩 1만여 개가 2035년까지 국내에 공급된다.
19일 국토교통부는 올해 2월 산학연 65개 기관이 참여해 만든 관련 얼라이언스를 통해 스마트 플러스 빌딩 활성화 추진안을 제시했다.
스마트 플러스 빌딩은 4차 산업혁명 기술에 친화적인 공간과 플랫폼 환경을 제공하는 건축물로 로봇이나 UAM 도입이 수월하다.
필로티 형태인 1층에는 자율주행차 전용 주차장을 마련하고 지상층 안에는 로봇시설, 옥상에는 UAM 버티포트(수직 이착륙장)를 조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과 가천길병원, 고양시청사와 서대문구청사를 스마트 플러스 빌딩으로 바꿀 방침이다.
우선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에는 한강과 연계한 UAM이 뜨도록 하고 광역 교통수단을 잇는 자율주행차 배치 공간을 구축한다.
위례 가천길병원 신축 빌딩은 재난응급형으로 조성해 응급 환자용 UAM 이송을 한다.
일산 킨텍스와 고양시청사, 서대문구청사 건물 등에는 UAM 버티포트를 마련할 방침이다.
다만 이들 3곳에 UAM 버티포트를 도입하는 시기는 2026년 이후가 될 전망이다.
일단 그해부터 멀티모달(기존 광역 교통체계와 연계) 교통허브 모델 기술을 개발하고 건물과 연계한 정밀 하늘지도 구축에 나설 예정이기 때문이다.
이에 앞서 내년에는 건축법 시행령을 개정해 UAM 버티포트 건축물 용도를 신설하고 이 가운데 공공 기능을 갖춘
버티포트에 대해서는 용적률과 건폐율을 완화해주기로 했다. 2025년부터는 건물 옥상에 UAM을 운용할 때 구조 등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다. 2026년 UAM 동선과 관련한 설비 기술을 개발한 이후부터 UAM 도입을 추진하는 것이다.
로봇 친화형 공동주택은 3기 신도시인 고양창릉에 가장 먼저 적용된다. 내년 관련 공모전이 열린다.
2027년 완전 자율주행차가 도입되는 데 맞춰 주차 공간을 축소하거나 외부로 분리하고 자율주행차와 건물 간 연결이 편리하도록 통신·안내 시스템도 구축하기로 했다.
로봇과 드론, 자율주행차, 도심항공교통(UAM) 기능이 결합한 ‘스마트 플러스’ 빌딩이 오는 2035년까지 국내 1만여 개 수준으로 공급된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2월 산·학·연 65개 기관이 참여해 만든 관련 얼라이언스 운영을 통해 스마트 플러스 빌딩 활성화 추진안을 19일 제시했다.
국토부는 이번 추진안을 통해 UAM 등의 이·착륙이 원활한 스마트 플러스 빌딩을 조성해 국민들의 여가시간 1시간을 추가로
확보하고 12조원가량의 건축산업 매출을 유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관련 일자리 13만개 창출 의지도 내비쳤다.
스마트 플러스 빌딩은 4차 산업혁명 기술에 친화적인 공간과 플랫폼 환경을 제공하는 건축물로 로봇이나 UAM 도입이 수월하다.
필로티 형태의 1층엔 자율주행차 전용 주차장을 마련하고 지상층 안에 로봇 시설, 옥상엔 UAM 버티포트(수직 이·착륙장)를 만든다.
정부는 모빌리티 친화형 건물을 만들기 위해 건축기준을 새로 마련하고 용적률과 건폐율 완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는 서울고속버스터미널과 가천길병원, 고양시청사와 서대문구청사를 스마트 플러스 빌딩으로 바꿀 방침이다.
우선 서울고속버스터미널엔 한강과 연계한 UAM이 뜨도록 하고 광역 교통수단을 잇는 자율주행차 배치 공간을 마련한다.
위례 가천길병원 신축 현장은 재난응급형으로 조성해 응급환자용 UAM 이승을 돕고 병동 회진 케어 로봇을 두기로 했다.
일산 킨텍스와 고양시청사, 서대문구청사 등의 건물엔 철도와 연계할 수 있는 UAM 버티포트를 마련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