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 전망 어둡다 SNP 부정적 평가 확대 경고

한국 기업 전망 어둡다 SNP 부정적 평가 확대 경고
한국 기업 전망 어둡다 SNP 부정적 평가 확대 경고
대출 한파에 신생아도 예외 없다 강북 주택 시장 초토화
국제 신용평가사 S&P가 최근 국내 주요 기업의 신용등급 전망을 발표했습니다.
이들 기업의 올해 신용등급 전망이 지난해보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원인으로는 중국발 과잉 공급, 수익성 둔화, 그리고 글로벌 무역의 불확실성이 지목되고 있습니다.
이는 현재 국내 기업들이 처한 경제적 부담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지난 2일, 서울 명동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박준홍 S&P 글로벌 레이팅스 상무는 국내 기업들의 신용등급 추세를 설명하며 이러한 결과를 공식화했습니다.
박 상무에 따르면, 지난해 6월 기준으로 39개 국내 기업 중 긍정적 신용등급 전망을 받은 비율은 5%였으나
올해 같은 시점에는 긍정적 전망이 전무한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대신 안정적 전망은 지난해 87%에서 올해 85%로 줄었고, 부정적 전망은 8%에서 15%로 거의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 확인됐습니다.
특히, 석유화학 업종이 이번 변화의 중심에 있다는 점이 주목됩니다.
박 상무는 "중국발 과잉 공급으로 인해 국내 석유화학 기업이 중국의 원가 경쟁력 높은 기업들과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러한 경쟁 심화는 석유화학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와 더불어 높은 단기성 차입금 부담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는 동시에 단기적인 유동성 위기가 현실화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면서도, 펀딩 비용 상승은 기업들에게 지속적인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불확실성은 이뿐만이 아닙니다. 박 상무는 향후 산업 전반에서 구조조정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하며
중국발 공급 과잉 외에도 무역 갈등을 심화시키는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 전기차 전환 수요 둔화
그리고 인공지능(AI)의 확산 등이 한국 기업들이 직면한 새로운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김대현 S&P 상무도 국내 금융산업에 대한 우려를 밝혔습니다.
그는 최근 증가하는 가계 부채와 양극화된 부동산 시장을 지적하며
내수 관련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부채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국내 내수 의존도가 높은 비은행 금융권이 특히 건전성 악화를 겪을 가능성이 크다며 금융권 차원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했습니다.
S&P가 이번 발표를 통해 한국 기업과 금융산업의 신용도 부담이 커지고 있음을 강조하면서, 글로벌 무역 환경 변화
원자재 가격의 변동성, 금리 상승 등 외부 요인들이 앞으로 국내 기업의 신용등급과 자금 조달 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국내 기업들과 금융기관들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지가 앞으로의 성과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로 작용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