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가격 인상 예고했는데 시멘트사 상반기 줄줄이 실적 개선

추가 가격 인상 예고했는데 시멘트사 상반기 줄줄이 실적 개선

추가 가격 인상 예고했는데 시멘트사 상반기 줄줄이 실적 개선

추가 가격 인상 예고했는데 시멘트사 상반기 줄줄이 실적 개선

교통 호재에 들썩 ‘이 동네’ 아파트 한 달 새 1억 뛰었다

지난해 두차례 가격을 올린 데 이어 올 하반기 추가 인상을 예고한 시멘트업체들이 상반기 줄줄이 큰 폭의 실적 개선을 이룬 것으로 나타났다.

화물연대 파업으로 지연된 출하량이 올 상반기에 몰린 데다 작년에 두차례에 걸쳐 가격 인상을 한 효과가

나타난 데 따른 것으로 업체들의 추가 가격 인상 추진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삼표시멘트[038500]의 상반기 영업이익은 399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153.3% 증가했다.

매출액은 4천194억원으로 27.3%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149억원으로 606.1% 늘었다.

회사 측은 "작년 말 화물연대 파업으로 지연된 시멘트 출하량이 올해 상반기에 몰렸고,

지난해 이뤄진 판매단가 인상이 올해 실적부터 반영되기 시작했다"고 실적 개선 배경을 설명했다.

한일시멘트[300720]도 영업이익이 909억원으로, 작년 동기(452억원)보다 2배가량 증가했다.

매출액은 6천232억원으로 25.0% 증가한 가운데 순이익도 754억원으로 70.2% 늘었다.

한일시멘트의 경우 사업 비중의 3분의 2를 차지하는 레미콘·레미탈이 실적 개선을

주도한 면이 있으나 시멘트 실적도 좋은 편이라고 이 회사 관계자는 설명했다.

한일시멘트의 계열사인 한일현대시멘트[006390]도 영업이익이 270억원으로 62.3% 증가했다.

순이익은 1.7% 감소한 167억원으로 집계됐으나 이는 작년 상반기 순이익(170억원)에 과거

보증채무에 따른 출자전환부채 평가이익 62억원이 포함됐기 때문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 평가이익을 제외하면 실제로는 올 상반기 순이익이 작년 상반기보다 60억원 가까이 많다는 의미다.

시멘트 업계 시장점유율 1위 업체인 쌍용C&E는 상반기 영업이익이 475억원으로 작년 동기(524억) 대비 9.3% 감소했다.

또한 48억원의 순손실을 내며 적자 전환했다.

그러나 영업 부문별로 보면 시멘트 부문의 영업이익이 339억원으로 작년(8억원) 대비 331억원이나 불어났다.

쌍용C&E는 "여러 요인이 있으나 작년에 두차례에 걸쳐 가격을 인상한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설명했다.

성신양회[004980]도 작년 상반기보다 72.6% 증가한 286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으며 같은 기간 순이익도 17억원에서 286억원으로 16배가량 늘었다.

아세아시멘트[183190]는 영업이익 628억원, 순이익 351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각각 39.5%와 75.4% 늘었다.

전체 매출에서 신사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올해 상반기 32.2%로, 2021년 15.3%, 지난해 29.8%에 이어 계속 커지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SK에코엔지니어링, SK오션플랜트[100090] 등 자회사 호실적 반영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늘었다"며

"영업이익도 원자재 가격 상승과 건설경기 둔화에도 불구하고 신사업 뒷받침과 플랜트 부문 실적 견인으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SK에코플랜트는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목표로 환경·에너지 기업으로의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을 완료했다.

환경 사업은 글로벌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선점을 위해 물량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폐기물의 국가·지역 간 이동 제약이 많은 만큼 자회사 테스와 어센드 엘리먼츠 등을 통해 전 세계 23개국 50개의 거점을 확보했다.

에너지 사업은 최근 6조원 규모 캐나다 그린수소 상용화 프로젝트에 참여함과 동시에 2조원 규모의 독점적 수주 기회를 확보하기도 했다.

Read more

비어도 너무 비어 지식산업센터 공실 위기 해결책 있다

비어도 너무 비어 지식산업센터 공실 위기 해결책 있다

비어도 너무 비어 지식산업센터 공실 위기 해결책 있다 비어도 너무 비어 지식산업센터 공실 위기 해결책 있다 6.27 규제가 가져온 변화 강남 아파트 매물만 늘고 매수는 뚝 최근 국내 건설업계가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과거 급격히 분양이 증가했던 지식산업센터와 상가의 공실 문제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경매로 넘어간 지식산업센터는

By 관리자
6.27 규제가 가져온 변화 강남 아파트 매물만 늘고 매수는 뚝

6.27 규제가 가져온 변화 강남 아파트 매물만 늘고 매수는 뚝

6.27 규제가 가져온 변화 강남 아파트 매물만 늘고 매수는 뚝 6.27 규제가 가져온 변화 강남 아파트 매물만 늘고 매수는 뚝 한국 기업 전망 어둡다 SNP 부정적 평가 확대 경고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로 인해 강남권 아파트의 매수 심리가 두 달 만에 꺾이는 모습을 보였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By 관리자
한국 기업 전망 어둡다 SNP 부정적 평가 확대 경고

한국 기업 전망 어둡다 SNP 부정적 평가 확대 경고

한국 기업 전망 어둡다 SNP 부정적 평가 확대 경고 한국 기업 전망 어둡다 SNP 부정적 평가 확대 경고 대출 한파에 신생아도 예외 없다 강북 주택 시장 초토화 국제 신용평가사 S&P가 최근 국내 주요 기업의 신용등급 전망을 발표했습니다. 이들 기업의 올해 신용등급 전망이 지난해보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원인으로는

By 관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