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도 없는데 비싸고 넓은 집 필요없어 소형아파트 인기
애도 없는데 비싸고 넓은 집 필요없어 소형아파트 인기
맞벌이로 소득은 높지만 자녀를 갖지 않는 딩크족이 늘어나면서 전용 60㎡ 이하 소형 아파트가 청약 시장에서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23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올해 1~8월 전국 1순위 청약 경쟁률은 소형(전용 60㎡ 이하) 31.5대1
중소형(60~85㎡ 이하) 11.25대1 대형(85㎡ 초과) 8.21대1로 소형 아파트가 가장 높았다.
인터넷 청약이 도입된 2007년부터 2021년까지는 소형 아파트 청약 경쟁률이 중소형·대형 경쟁률을 넘어선 적이 없었다.
그러나 2022년 소형 아파트가 6.94대1의 경쟁률로 중소형(6.39대1)을 추월한 이후 지난해는 소형이 12.52대1을 기록하며
중소형(8.67대1)과 격차를 벌렸고, 올해는 3배가량 높은 경쟁률로 ‘뉴노멀 평형’ 굳히기에 들어갔다.
매매 시장에서도 전용 면적 60㎡ 이하 아파트의 신고가가 이어지고 있다.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남3구는 물론 마용성(마포, 용산, 성동구)에서 초소형 아파트가 10억 원 이상 가격대에 거래되고 있다.
서울 강남구 개포동 ‘래미안블레스티지’ 전용 49㎡는 지난달 18억 9000만 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썼다.
같은 달 송파구 헬리오시티 전용 49㎡도 17억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갱신했고
7월에는 마포구 마포더클래시 전용 43㎡가 10억원에 매매됐다.
업계에서는 맞벌이면서 자녀가 없는 딩크족의 증가가 소형 아파트 수요를 끌어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 통계청이 지난해 발표한 ‘2022년 신혼부부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신고를 한 지 5년이 되지 않은
초혼 신혼부부 중 딩크족 비중은 28.7%로 나타났다. 3쌍 중 1쌍이 딩크족인 셈이다.
이에 부동산 업계도 소형 평수 공급을 강화하고 있다.
HL디앤아이한라는 이달 서울 마포구 아현동 일원에 ‘마포 에피트 어바닉’을 분양한다.
단지는 지하 5층~지상 24층 2개동 총 407세대로 전용면적 34~46㎡ 아파트 198세대와 전용면적 42·59㎡ 오피스텔 209실로 구성된다.
GS건설 컨소시엄은 이달 부천시 소사구 괴안동 부천괴안 공공주택지구 B2블록에 ‘부천아테라자이’를 선보인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20층 2개동 200가구 소규모 단지로 전용면적 50~59㎡ 소형 평형 위주로 구성됐다.
현대건설은 평택역 인근에 ‘힐스테이트 평택역센트럴시티’를 10월 중 공급한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35층 14개동 총 1,918가구 중 599가구가 일반에 공급되는데
이 중 전용 59㎡ 382가구, 전용 45㎡ 초소형 타입도 32가구가 공급된다.
강남구에서 거래가 제일 많았던 개포동 ‘개포래미안포레스트’가 6월에만 33건 손바뀜이 있었으나 7월엔 20건으로 급감하더니 8월 7건, 이달 단 1건만 계약됐다.
인근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높아진 금액을 쫓아가기에 부담스럽다 보니 추격매수세가 급감했다”고 말했다.
마포구 대장주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인근 중개업소 대표도 “이달부터 거래가 완전히 침체했다”며 “호가가 전고점을 넘어서자 문의 자체가 없다”고 했다.
서울에서 가장 먼저 전고점을 회복한 서초구도 아크로리버파크, 반포자이 등 대표 단지 위주로 거래가 감소하기 시작했다.
정부 압박에 따른 금융권 ‘대출 조이기’도 과열 진정을 거들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 주택담보대출 증가세는 이달 둔화했다.
일부 핵심지에선 이달부터 2단계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규제에 따른 혼란도 관측된다.
용산구 이촌동의 공인중개사는 “계약했고, 잔금은 치러야 하는데 대출이 안 나오니 잔금을 치르는 데 애를 먹는 손님들이 꽤 된다”며 “전세 거래 역시 마찬가지”라고 전했다.
정보현 NH투자증권 부동산 수석연구원은 “단기 급등에 따른 피로감과 대출 규제로 인한 매수 관망세에 거래량 감소는 당분간 더 심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