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10 가구 주택 2.37채 소유 하위 10는 1채도 없어

상위 10 가구 주택 2.37채 소유 하위 10는 1채도 없어

상위 10 가구 주택 2.37채 소유 하위 10는 1채도 없어

상위 10 가구 주택 2.37채 소유 하위 10는 1채도 없어

어쩌다 찬밥신세가 됐지 부동산 온기에도 2년째 하락한 이곳

가구가 소유한 집값의 격차가 최대 40배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싼 집을 가진 가구는 소유한 주택 수도 상대적으로 많았다.

대한민국 사회의 자산 불평등을 보여주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행정자료를 활용한 2023년 주택소유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공시가격 기준)은 3억2100만원으로 전년(3억1500만원)보다 상승했다.

가구당 평균 소유 주택 수는 1.35채, 평균 면적은 86.6㎡였다. 주택을 소유한 평균 가구주 연령은 57.3세, 평균 가구원 수는 2.55명이었다.

특히 자산가액 기준 상위 10% 가구의 평균 주택 가액은 12억5500만원으로 하위 10% 평균 주택 자산 가액(3100만원)의 40.5배에 달했다.

상위 10%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전년(12억1600만원)보다 약 4000만원, 하위 10%는 전년(3000만원)보다 100만원 증가했다.

상위 10% 가구의 평균 소유주택 수는 2.37채로 하위 10%(0.98채)보다 약 2.4배 많았다.

비싼 집을 가진 가구일수록 소유 주택 수도 더 많은 셈이다.

2022년 11월 1일 기준으로 소유한 주택이 없었다가 1년 뒤 소유자가 된 사람은 71만9000명이었다.

반면 같은 기간 주택 소유자에서 무주택자가 된 사람은 30만6000명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소유 주택이 늘어난 사람은 102만6000명이었고 이들 중 대다수인 98만1000명이 집을 1채 더 산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 소유 건수가 감소한 사람은 55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가구가 소유한 주택은 1675만9000채로 지난해(1644만8000채)보다 31만2000채 늘었다.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56.4%였다. 주택 소유율은 상대적으로 1인가구(31.3%), 비친족가구(42.3%), 한부모·미혼자녀 가구(53.9%) 등이 평균 보다 낮게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개인이 소유한 주택은 1674만2000채로 전년(1643만3000채)보다 31만1000채 늘었다.

주택 소유자는 전년(1530만9000명)보다 30만9000명 늘어난 1561만8000명이었다.

1인당 평균 소유 주택 수는 1.07채로 전년과 같았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가 393만8000명(25.2%)으로 가장 많았고 60대(22.8%), 40대(21.2%), 70대(12.0%) 순으로 집계됐다.

주택 1채만 소유한 사람은 1327만90000명(85.0%)으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2채 이상 소유한 다주택자는 233만9000명(15.0%)으로 집계됐다.

여성의 다주택자 비율은 15.0%로 전년보다 0.2%포인트 상승하며 남성(15.0%)과 같아졌다.

개인 소유 주택 1674만2000채 중 단독 소유 주택은 1449만6000채(86.6%)였고 나머지(13.4%)는 공동 소유였다.

전년과 비교하면 공동 소유 비중이 0.1% 포인트 상승했다.

한편, 이번 통계는 건축물대장, 주택공시 가격, 재산세 자료 등 주택 관련 행정자료와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해 작성됐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