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진 건설사 충북 1위 대흥건설 법정관리
무너진 건설사 충북 1위 대흥건설 법정관리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위권 내 건설사의 연이은 위기로 건설업계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올해 들어 신동아건설(58위), 삼부토건(71위) 등 중견 건설사들이 잇달아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하는 가운데, 업황은 계속해서 악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오는 7월 도입되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규제로 인해 지방 아파트 미분양 물량이 더욱 증가하면서 위기가 심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연초 불거졌던 4월 위기설에 이어 ‘7월 위기설’이 거론되는 배경이다
실제로 8일 기준 시공능력평가 96위에 오른 충북 지역 대표 건설사 대흥건설은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준비 중이라고 공시했다
대흥건설은 1994년 대흥토건으로 시작해 2021년 새로운 주택 브랜드 ‘다해브(DaHave)’를 출시하고, 이듬해 사명을 대흥건설로 변경하며 사업 다각화를 추진해왔다
특히 지난해에는 창사 이후 처음으로 시공능력평가 순위 100위 이내에 이름을 올리는 성과를 냈다
그러나 과도한 사업 확장이 재무구조를 악화시키며 자금난에 처했고, 결국 하도급 대금과 임직원 급여 지급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같은 건설경기 침체는 대흥건설 사례에 그치지 않는다
올해 들어 국내 중견 건설사 9곳이 법정관리를 신청했으며, 그중 신동아건설, 삼부토건을 포함해 대저건설(103위), 안강건설(116위), 대우조선해양건설(83위) 등이 차례로 무너졌다
최근에는 벽산엔지니어링(180위)과 이화공영(134위)도 동참하며 업계 상황이 심각해지고 있다
또한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4월 7일까지 약 100일간 종합건설업체만 171곳이 폐업 신고를 했다
여기에 전문건설업체를 포함하면 폐업 건수는 총 1002건에 달하며, 하루 평균 10곳이 문을 닫고 있는 셈이다
특히 종합건설업체의 폐업 추세는 2022년 78곳에서 2023년 127곳으로 증가했고, 지난해에는 이 숫자가 148곳까지 늘어나며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통계에 따르면, 분양 또는 임대를 목적으로 건설 중인 아파트 사업장에서 공사가 중단된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2021년과 2022년에는 단 한 곳도 없었던 공사 사고가 2023년에는 16곳으로 늘어나며 사고 금액만 1조2143억 원에 달했다
지난해에는 이러한 사업장이 17곳으로 증가했고 총 사고 금액은 약 1조1558억 원을 기록했다
더 큰 위기는 앞으로 다가올 가능성이 높다
오는 7월 시행되는 스트레스 DSR 3단계로 인해 실수요자의 주택 구매력이 감소하면서 건설사의 유동성 위기가 가중될 전망이다
여기에 오는 6월부터 제로 에너지 의무화 정책이 시행되면 신규 주택에 태양광 설비 등의 설치가 요구되어 분양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대출 규제 강화는 미분양 물량의 적체로 이어지고 있다
미분양 주택 수치는 2022년 6만8148가구에서 2023년 초반 한때 6만2489가구로 줄었으나, 지난해 스트레스 DSR 2단계 도입 이후 다시 증가하며 현재는 7만173가구에 도달했다
특히 올해 2월 말 기준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물량은 2만3722가구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