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익 대명사가 어쩌다 한 달에 1000곳씩 사라지는 이 업종
고수익 대명사가 어쩌다 한 달에 1000곳씩 사라지는 이 업종
전국적으로 문닫는 공인중개사무소가 한 달에 1000곳을 넘어 섰다.
집값과 거래량 회복세에도 서울과 지방간 극심한 온도차와 전세사기 여파에 따른 빌라, 오피스텔 등 비아파트 거래가 감소한 탓이다.
거래를 몇 건만 성사시켜도 웬만한 직장인 몇 달 치 월급을 중개보수로 벌 수 있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한 때
공인중개사 1차와 2차 시험 원서접수자는 40만명에 육박하기도 했지만,
거래 시장 불황이 길어지면서 이젠 매달 점포 임대료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24일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전국 폐업 공인중개사는 1029건으로,
이는 전년 동기(935건) 대비 9.1% 늘어난 규모다. 문을 닫는 중개업소는 작년 11월이후 9개월 연속 1000건을 웃돌았다.
같은 기간 휴업건수도 78건에서 121건으로 증가한 반면, 신규개업은 909건에 그쳤다.
전국 공인중개사무소의 폐업·휴업이 신규개업 규모를 넘어선 시점은 지난 2월이다.
이후 신규개업이 폐업보다 많았던 시기는 단 한번도 없었다.
최근 부동산 경기를 나타내는 각종 지표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공인중개업계에는 여전히 찬 바람이 불고 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거래량이 살아나고 있지만, 지역·단지별 부동산 경기 편차가 큰데다,
역전세와 전세사기 여파로 비아파트 임대차 시장까지 위축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자료를 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이달 23일 기준 3436건이다.
금리인상 여파로 거래절벽이 극심했던 지난해보다는 늘었지만, 부동산 호황기였던 2020~2021년보다는 여전히 적은 수치다.
부동산 호황기 ‘끝물’이라 불렸던 2021년 8월(4065건)보다도 적다.
일부 업력이 길고 다수의 매물을 확보한 중개사들에게 거래가 쏠리는 것도 이유로 꼽힌다.
이로 인해 중개시장 곳곳에서는 그동안 힘들게 버텨온 중개사들이 한계에 이르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노원구의 경우 공인중개사협회 회원사 약 20곳이 올해 들어 폐업한 것으로 전해졌다.
노원구 중계동 A 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중개보조원 급여를 주는 것 조차 부담스러운 상황”이라면서도
“폐업한다고 특별히 할 수 있는 게 없으니 안전진단을 통과한 단지가 11개 재건축 단지의 진척만을 기다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최근 공인중개사협회 홈페이지 직거래 게시판에도 ‘단지 내 부동산 양도합니다’, ‘권리금 저렴하게 내놓습니다’,
‘사무실 무권리로 드립니다’ 등 중개사무소를 처분하기 위한 목적의 게시글이 매일 수십 개씩 올라오고 있다.
임대료를 제외하고도 만만치 않은 유지비용도 부담이다.
아파트 거래 대다수는 공동중개(1건 부동산거래에 2인 이상 중개업자가 공동 중개)다.
이를 위해선 공인중개사가 권리금을 내고 지역 내 공인중개사 네트워크에 가입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업소간 경쟁 심화로 인한 온라인 중개 플랫폼 매물 등록에도 많은 광고 비용을 쓰고 있다.
중개 플랫폼 업체 관계자는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딴지 얼마 안 된 초보 중개사들은 플랫폼을 이용해 비아파트 전월세 중개를 주로 다룬다.
이마저 전세사기로 거래가 많지 않아 수수료 수익이 적을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사회적 문제로 부상한 ‘전세 사기’에 일부 공인중개사가 가담한 것으로 드러나 중개업계가 신뢰를 잃은 점도 이런 흐름에 적잖은 영향을 끼쳤다.
여기에 다양한 직거래 플랫폼 등장과 중개 수수료를 아끼려고 직거래에 나서는
수요자들 증가도 개업보다 휴폐업을 선택하는 중개업소의 증가로 이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수년 동안 응시 열기가 뜨거웠던 공인중개사 시험 인기도 서서히 식고 있다.
공인중개사 시험 1차 응시인원은 2018년 13만8287명(한국산업인력공단 큐넷)에서 2021년 18만6278명까지 치솟았지만, 지난해 17만6016명으로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