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대체 지역 집값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강남 대체 지역 집값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서울을 넘어 GTX-B 노선으로 새롭게 떠오르는 지역들
경기 과천과 성남 일대의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서울시가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확장하면서 인근 지역으로의 풍선효과가 나타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9일 발표된 한국부동산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 3월 다섯째 주(31일 기준)
경기 지역 아파트 가격은 전주 대비 보합 상태를 유지해 0.00%의 변동률을 기록했다
주목할 점은 자치구별로 온도 차가 크다는 것이다
해당 기간에 과천시(0.39%)는 별양동과 원문동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성남 수정구(0.27%)는 창곡동과 신흥동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과천의 상승률이 가장 높아 0.39%를 기록했으며, 이어 서울 송파구가 0.28%, 성남 수정구가 0.27%의 상승률로 집계되었다
과천의 아파트값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이후 상승 폭이 다소 둔화되었으나(0.55%에서 0.39%로 감소)
여전히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예를 들어, 지난달 22일 경기 과천 별양동의 과천자이 전용 84㎡는 23억1000만원에 거래되었다
같은 면적의 아파트가 2월에는 22억5000만원에 거래되었던 점을 고려하면 한 달 만에 6000만원이 오른 셈이다
또한, 재건축 중인 과천주공10단지의 전용 83㎡도 지난달 26일 27억원에 거래되면서 새로운 신고가를 기록했다
다른 지역도 비슷한 상황이다
지난 1일 경기 성남 분당구 백현동의 판교푸르지오그랑블 전용 117㎡는 36억7000만원에 거래되어 지난해 12월 기록한 신고가와 비슷한 수준에서 팔렸다
창곡동 위례신도시의 위례센트럴자이 전용 74㎡도 15억2000만원에 팔리면서 이전 거래 가격(14억6000만원)보다 6000만원 올랐다
업계에서는 강남 3구 집값 상승이 판교와 분당, 용인 수지와 기흥, 과천과 평촌, 인덕원, 산본 등으로 퍼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한다
국토연구원은 지난해 국토정책 브리프 보고서에서 강남권의 상승 추세가 일정한 경로를 따라 인근 지역으로
순차적으로 확산된다는 인식이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 널리 퍼져 있다고 분석했다
해당 기간에 과천시(0.39%)는 별양동과 원문동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성남 수정구(0.27%)는 창곡동과 신흥동을 중심으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과천의 상승률이 가장 높아 0.39%를 기록했으며, 이어 서울 송파구가 0.28%, 성남 수정구가 0.27%의 상승률로 집계되었다
과천의 아파트값은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이후 상승 폭이 다소 둔화되었으나(0.55%에서 0.39%로 감소)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과천과 성남은 경기 지역에서도 상급지로 분류되는 곳이며 신분당선과 4호선 등
강남과 서초 지역에 접근성이 좋아 강남 집값 상승세를 따라가고 있는 추세였다
그는 최근 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섰기 때문에 앞으로의 움직임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