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살아파트 의외의 파장 서울·수도권 집값 회복 가속화” 왜
순살아파트 의외의 파장 서울·수도권 집값 회복 가속화” 왜
무색해진 계약갱신청구권 계약 연장 대신 새집 찾는 세입자 증가
부동산 전문가들 주택시장 전망
무더위가 한풀 꺾이고 나면 부동산 시장의 회복 속도는 빨라질까.
부동산 시장에선 전통적으로 비수기로 여겨지는 여름철이 지나가면, 상승 신호가 본격적으로 나타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국은행이 집계·발표한 7월 주택가격전망 CSI는 전달보다 2포인트 오른 102를 기록했다.
이 지수가 100을 넘어선 것은 지난해 5월 이후 처음이다.
주택가격전망 CSI가 100을 초과한다는 것은 1년 뒤 집값이 지금보다 오를 것으로 예상한 사람이 하락의 경우보다 더 많다는 뜻이다.
‘집값 상승론’이 ‘하락론’을 앞지른 셈이다.
거래도 꿈틀거린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집계된 6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3848건이다.
지난해 11월(728건) 1000건이 채 안 되던 월 거래량이 4000건에 육박할 정도로 크게 늘어났다.
그러나 여전히 5년 평균 월 거래량인 5000∼6000건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경제 상황도 어둡다.
국내 소비와 투자가 모두 부진한 ‘불황형 성장’이 이어지고 있고, 집값의 거품이 덜 빠졌다는 인식도 상당하다.
냉탕과 온탕을 오가는 주택 시장에서 수요자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이에 부동산 전문가 8인에게 향후 시장 전망과 대응 전략에 대해 물었다.
9일 중앙SUNDAY가 향후 시장 전망에 대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부동산 전문가 8명 중 7명은 추석 이후
서울·수도권을 중심으로 이미 상반기 시작된 회복 시그널이 가속화할 것으로 봤다.
하반기 서울·수도권 집값 향방을 묻는 질문에 전문가 8명 중 5명은 ‘상승’ 또는 ‘강보합’을 꼽았다.
‘일시적 반등’과 ‘통계적 상승’ 전망까지 포함하면 전문가 8명 중 7명이 하반기 부동산 시장의 회복 탄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봤다.
반면 전문가 1명은 여전히 부족한 거래량과 늘어나고 있는 매물 등을 고려해 올가을 이후 집값의 하락을 예상했다.
하반기 반등 전망을 내놓은 다른 전문가 1명도 이와 같은 이유로 내년 ‘2차 하락’이 올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하반기 상승을 예측한 전문가 8인 중 5인은 “집값의 추가 하락을 무작정 기다리지 말라”고 조언한다.
지난해 집값 급락을 불러온 금리가 안정되고
있으며, 규제 완화와 공급 부족 현상이 서울 도심의 집값을 견인하고 있다는 게 주요 근거였다.
김제경 투미부동산컨설팅 소장은 “올 들어 강남과 용산을 제외한 서울 대부분 지역이 비규제지역이 되고 양도세 중과가 완화되면서
다주택자 입장에서 집을 급하게 팔아야 하는 요인들이 거의 사라졌다”고 말했다.
정부는 2023년 5월까지 예정됐던 양도소득세 중과 배제를 1년 더 연장했고, 다주택자에 대한 취득세 중과도 완화했다.
규제지역도 강남 3구와 용산을 제외하곤 모두 해제했다. 금리 추가 상승에 대한 우려도 크게 줄었다.
고준석 제이에듀투자자문 대표는 “한·미 기준금리 격차가 현재 2%포인트로 벌어졌지만,
국내 가계부채 등 경제상황을 고려하면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추가로 올라갈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가 적어지면서 실수요자들이 내 집 마련에 나서고 있어 하반기 서울·수도권의 집값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앞으로 공급 부족 문제가 시장을 강타할 변수로 떠오를 것이라는 우려도 상당하다.
국토부에 따르면 상반기 주택 착공건수는 9만2490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50.9%, 아파트 분양(승인기준)은 6만6447호로 전년 동기
대비 43.0% 줄었다. 게다가 최근 ‘순살아파트’ 사태로 주택 공급이 더 위축되면서 집값을 자극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전문위원은 “올 들어 서울 집값이 상당한 회복이 이뤄지면서 하반기는 주춤할 수 있으나,
향후 공급 부족에 대한 얘기가 뉴스를 도배하면 공급 부족에 따른 불안심리가 시장을 크게 뒤흔들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