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바 준대도 분양문의 한 통 없다 음산하다는 이 도시
골드바 준대도 분양문의 한 통 없다 음산하다는 이 도시
대구시 남구 대명동 ‘힐스테이트 대명 센트럴 2차’는 최근 선착순으로 계약자들에게 축하금과 골드바 10돈(600만원 상당)을 증정하고 있다.
2026년 2월 입주를 앞둔 이 단지는 최근 ‘특별분양 이벤트’를 진행하면서 계약금도 분양가의 10%에서 5%로 낮추고, 중도금 6회 차 가운데 3회 차 무이자 대출 혜택도 제공했다.
이 단지가 청약을 받은 것은 2022년 7월이다. 그런데 967가구 모집에 1·2순위를 합쳐 244가구가 신청하면서 대거 미분양됐다.
2년 반이 지나도 상당수가 미분양으로 남게되자 시행사가 ‘준공 후 미분양’을 피하기 위해 파격 조건을 내걸었지만, 계약은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작년 12월 기준 전국에 쌓인 미분양 물량은 7만173가구로, 국토교통부에서 위험 수위로 판단하는 6만2000가구(20년 장기 평균)를 한참 넘어선다.
더 심각한 문제는 준공 후 미분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는 점이다.
준공 후 팔리지 못한 미분양은 건설사의 유동성 위기로 이어질 위험이 높아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된다.
전국 준공 후 미분양은 2만1480가구로 한 달 전(1만 8644가구)보다 무려 15.2% 급증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2013년 12월 이후 최대치다.
지방은 ‘쑥대밭’이란 표현이 공공연하다. 대구(2674가구), 전남(2450가구), 경북(2237가구), 제주(1746가구) 등 지역을 가리지 않고 초토화됐다.
수도권도 불안한 모습이다. 경기 지역 준공 후 미분양은 2072가구로 전월(1695가구)보다 22.2% 급증했다.
건설사와 시행사들은 미분양 물량을 떨어내기 위해 안간힘이다.
경기 평택시 평택화양지구에 조성되는 ‘평택 푸르지오 센터파인’은 작년 말 계약자에게 축하금 500만원을 지급하고, 계약자 한정 추첨을 통해
자동차 경품을 주는 이벤트를 벌였다. 계약하면 현금을 돌려주는 사례까지 나타나고 있다.
지방 일부 오피스텔은 계약 후 분양가보다 시세가 내려가면 사업자에게 분양 가격으로 다시 매도할 수 있는 ‘환매조건부’ 방식을 홍보하고 있다.
전체 분양가의 10%를 계약금으로 내면 그 돈을 돌려주는 오피스 물건도 등장했다.
하지만 부동산 경기가 쉽게 반전되기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당장 미분양에 신음하는 대구 부동산 시장부터 올해 다시 한번 고비를 맞을 전망이다.
최근 몇년 동안 부동산 경기 악화로 분양을 미뤄왔던 대구 아파트 단지들이 입주가 임박해 후분양 물량으로 쏟아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분양업계에 따르면 올해 대구 지역에서 분양할 단지는 20여 개일 것으로 전망되는데 후분양 물량이 12개 단지, 4167가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분양업계 관계자는 “지난해 대구에서 후분양 방식을 택했던 단지들도 결과가 썩 좋지 않았다”면서 “후분양 물량이 계속 흥행에 실패하면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당정이 지난 4일 비수도권·지방 미분양 주택에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한시적으로 완화해 달라고 금융위원회와 국토교통부에 요청한 것도 이 같은 배경에서 나온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