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한 채면 강북 5채 산다 서울 아파트 양극화 역대급
강남 한 채면 강북 5채 산다 서울 아파트 양극화 역대급
부동산 양극화가 심화되며 전국 아파트 가격 상위 20%의 평균이 하위 20% 평균의 11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 시계열에 따르면 지난 11월 전국 아파트값 5분위 배율은 10.93으로, 역대 최대 격차인 것으로 드러났다.
5분위 배율은 주택가격 상위 20%평균(5분위)을 하위 20% 평균(1분위)으로 나눈 값으로, 고가주택과 저가주택 간의 가격 격차를 나타내는 지표다.
전국 아파트 5분위 배율은 지난해 12월 10.3에서 올해 7월 10.5, 지난 10월 10.85로 꾸준히 올랐다.
지난달(11월)에는 전국 아파트 1분위 평균이 1억1672만원, 5분위 평균이 12억7623만원이었다.
상위 20% 아파트 1채 가격으로 하위 20% 아파트를 평균 11채 정도 살 수 있는 셈이다.
서울 지역 아파트값의 5분위 배율 또한 5.5로, 2008년 12월 통계 조사 이래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특히 지난달 서울 아파트 1분위 평균은 4억9061만원인데 비해, 5분위 평균은 26억8774만원이었다.
반면 지방 아파트는 아파트값 하락 여파로 지난달 전국 기준 1분위 평균가는 1억1672만원, 5분위 평균가는 12억7623만원이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의 경우 지난달 5분위 배율이 7.4였다.
2023년 4월 이래로 꾸준히 오르는 모양새다. 지난 달 전국 1분위 아파트의 전세 평균 가격은 8881만원인 반면, 전국 5분위는 6억6095만원에 달했다.
서울 아파트의 전세 5분위 배율은 4.3인데 반해, 지방 아파트의 5분위 배율은 6.1로 격차가 더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3분기 기준 전국의 가구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Price Income Ratio)은 중간 수준인 3분위를 기준으로 4.5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분기 4.7을 기준으로 3분기 들어 하락한 것이다. 서울의 경우 3분위의 올해 3분기 PIR은 9.8이다.
분기 PIR은 주택 가격을 가구 소득으로 나눈 것으로, 중산층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중간 가격 수준의 집을 마련할 수 있다는 의미다.
내년부터 초고가 아파트와 호화 주택의 상속·증여세가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국세청이 시가를 알기 힘든 꼬마빌딩에 한해 실시하던 감정평가 대상에 이들 주거용 부동산도 포함하며 세금을 현실화하기로 해서다.
국세청은 내년부터 시가보다 현저히 낮은 가격으로 신고된 주거용 부동산을 감정평가 대상에 추가한다고 3일 밝혔다.
국세청은 이와 동시에 감정평가 선정 기준액도 낮춰 적용 가능한 부동산 범위를 넓히기로 했다.
그동안 이들 고가 아파트·주택은 거래량이 적어 시가가 잘 형성되지 않았고 비교 대상 물건도 많지 않아 관련 세금이 지나치게 낮게 부과된다는 지적이 많았다.
특히 규모가 작고 추정시가가 낮은 아파트보다 오히려 세금이 적어 논란이 있었다.
현재는 신고가액이 국세청 추정시가보다 10억원 이상 낮거나 두 가격 차이가 추정시가의 10%를 넘을 경우 감정평가 대상이 된다.
하지만 내년부터는 신고가액이 추정시가보다 5억원 이상 낮은 경우로 확대된다. 차액 비율 10% 이상은 그대로 적용된다.
가령 서울 도곡동 타워팰리스 1차 아파트의 전용면적 223.6㎡는 현재 기준시가가 37억원인데, 국세청 추정시가는 70억원이다.
이에 따라 증여세는 기존 13억7000만원에서 30억1500만원으로 크게 오른다.